최근 SCHD 주가가 오르고 있다
2025.08월 말부터 SCHD 주가가 오르고 있다.
당장 내 계좌만 봐도 SCHD 주가가 약 5%정도 상승했다.
참고로 나는 SCHD 적립식 투자를 25년 4월부터 시작했다.
그래서 그런지 SCHD 커뮤니티는 잔치 분위기다.
왜냐하면 SCHD는 25년 4월 급락이후 M7의 성과에 힘입어
새로운 고점을 갱신한 SPY나 QQQ와는 달리
계속해서 별다른 주가 성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최근 SCHD의 주가가 다시 올라가고 있는 이유를
내 나름대로 분석해 봤다.
미국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최근 SCHD의 주가가 오르는 이유는 단순히 하나가 아니겠지만,
그중 가장 큰 이유는 단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아닐까 싶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08.22일 열렸던 잭슨홀 연설에서 연방준비제도 의장인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여러 발언을 했는데 이로 인해 미국 주식 시장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SCHD도 미국 증시 상승에 힘입어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여진다.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파월' 의장의 발언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관세가 소비자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확실히 알았다".
"관세는 단발적으로 물가를 상승 시킬 수 있지만
물가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Balance of risks (인플레이션에 크게 영향을 줄줄 알았던 관세 등)가 변화함에 따라
금리를 낮추지 않겠다는 우리의 기조가 바뀔 수도 있을 것 같다".
SCHD의 매력도 상승
기존에는 미국 금리가 높았기 때문에
미국 단기 국채의 금리가 4 ~5%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SCHD의 연 배당률은 현재 기준으로 약 3.70%이다.
물론 SCHD는 높은 배당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는 장기투자를 했을 때만
체감할 수 있는 기대 수익이다.
이렇다 보니 연 배당률도 낮고 원금 손실의 가능성도 있는 SCHD와 같은 배당주보다는
확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하는 안전 자산인
미국채가 더 낫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많았을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이후 지속으로 금리가 낮아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며
금리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안전한 SCHD로 자산이 쏠린게 아닌가 싶다.
*연준은 보통 ONE-SIDE한 통화 정책을 보여줘 왔다. EX) 금리를 한 번 낮추면 계속 낮추는 등
타 ETF 대비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함
SCHD는 25.04월 상호관세 이슈가 있을 때 급락시장에는 동참 했지만,
SPY와 같은 다른 ETF가 회복할 때는 비슷한 탄력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다른 ETF와 비교해봐도 VOO, QQQ는 이미 전고점을 돌파 했지만,
SCHD는 아직도 4만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퍼지며,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SCHD에 상당량의 자산이 몰린게 아닐까 싶다.
실제로 장기로 투자하는 종목들은 전고점 대비 낮은 가격을
오랜 기간동안 형성하고 있으면, 구매하고 싶게 만드는 충동이 들기도 한다..
향후 SCHD 구매 전략
현재 SCHD 적립식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이 방향은 앞으로도 지속할 예정이다.
그리고 25.09.16 ~ 17일에 FOMC의 발표가 있는데 이 때 금리 인하를 확정 지으면
아마 SCHD의 주식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 때문에 09.16 ~ 17 이전에 여유가 되는 자금으로 최대한 SCHD를 매수해 보려고 한다.
문제는 여유 자금이 많이 없다 ㅎㅎ..